허리 디스크
허리디스크는 척추 뼈와 뼈 사이의 구조물인 디스크가 탈출된 증상을 말합니다. 디스크, 즉 추간판은 탄력성이 뛰어나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켜 주고 딱딱한 뼈끼리 직접 부딪히는 현상을 막아줍니다. 이 디스크가 외부의 큰 충격이나,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튀어나오게 되면 염증이 생기고 신경을 눌러 요통, 방사통 등의 통증을 유발하는데, 이를 허리디스크라고 합니다.
탈출될 디스크는 척추 내에 위치한 신경을
허리 디스크 치료
비수술적 치료로에는 단기간의 휴식이나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요법,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요법, 신경근 차단술 등이 있습니다.
충분한 치료를 받고 나도 정상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통증이 지속된다면 수술을 고려해 보게 됩니다. 수술은 대개 다리 통증의 완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척추 측만증
척추측만증은 척추가 정상인과 비교하여 옆쪽으로 휘어지는 증상입니다. 휘어지는 곡선은 대개 S자 또는 C자모양입니다. 일반적으로 통증은 없으나, 심한 경우 호흡을 방해 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곡선의 정도, 위치 및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척추 측만증은 단순히 나쁜 자세에 의해 휜 것이 아니므로 자세를 똑바로 하거나 등을 대고 기대도 펴지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척추 측만증 치료
일반적으로 25도에서 50도 사이의 측만증은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으므로 전문의의 검진이 필요합니다. 검사 상 각도가 진행할 위험성이 높으면 보조기 착용과 같은 치료가 필요하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50도 이상 측만을 보이는 경우에는 정상 자세를 회복시키기 위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교정치료, 운동치료나 도수치료 등 수술적 방법 외에 허리를 펴준다는 치료들은 과학적으로 그 효과가 입증된 치료들이 아니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상식적으로 보아도 치아 교정을 이러한 방법으로 교정할 수 없듯이 더 큰 뼈인 척추가 이러한 방법으로 교정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